제목 | 왜 커스텀 무통라섹하십니까? 커스텀 무통라섹이기 때문입니다. ^^ |
---|---|
작성일 | 2010-06-11 |
조회수 | |
라섹이야기 들으면 "안전하긴 한데 아프다던데.." 의 생각을 가지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그 고통을 주는 라섹은 초창기 방식이구요. 요즘에 시력교정 전문병원에서 시술하는 라섹은 고통이 많이 줄었답니다.
시술을 한 환자분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초창기 라섹을 한 분들은 이 눈을 뜯어내버리고 싶다는 무서운 발언까지 서슴치 않고 하셨지만
요즘에는 피부에 상처가 생겼을 때 느끼는 정도인 따끔 따끔하다는 정도만 느낀다고 합니다.
이런 차이는 기본적으로 시술상의 변화이기도 있고 고통을 많이 줄여주는 보조적인 시술방법들을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졌습니다.
커스텀 무통라섹 방법 및 특징
광학부 크기에 맞춰 각막상피를 Amoil 브러쉬로 제거, 무통라섹 이전에 라섹에서 사용하던 방식은 알코올 20%를 약물에 희석하여 각막을 불린 후 이것을 들어내고 들춰낸 부위에 수술을 했습니다.
수술이 끝난 후 들어냈던 각막상피를 다시 덮어놓았었는데 알코올로 인해 각막세포들이 많이 괴사된 상태라 통증을 많이 유발하였고,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각막에 혼탁이 생겨나는 단점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조은눈 안과에서는 독성의 우려가 있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Amoil브러쉬로 각막상피를 부드럽게 제거합니다.
수술 이후 각막상피가 되살아 날 때까지 치료용 콘텍트렌즈를 덮어놓습니다. (각막상피는 2~3일 만에 재생된답니다.)
깨끗한 절삭면으로 수술 이후에도 각막혼탁과 안구건조증과 같은 부작용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각막 Cooling system
시력교정 수술 이후 발생하는 대부분의 각막 부작용들은 시술할 때 레이저의 높은 열로 인해 발생합니다.
최근에 나온 레이저일수록 낮은 온도로 더 정밀하게 각막을 절삭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습니다.
조은눈에서 운용하는 Visx S4 레이저만이 가지고 있는 Vss, VRR 시스템은 수술 할 때 레이저 조사부위의 온도상승을 최소화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또한 레이저로 인해 뜨거워진 각막을 식혀주도록 레이저 직후 냉각된 평형염액(Cold BSS)으로 수술한 부위의 온도를 식혀줍니다.
이 덕분에 각막의 손상이 줄어들어 수술 후 통증을 줄어들고 회복도 빠르게 되었습니다.
수술 후 항대사물질 사용
수술이후 항 대사물질인 마이토마이신을 수술 부위에 넣어줌으로써 각막세포 활성화를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각막세포 활성화를 막아 각막혼탁을 차단합니다.
이런 무통라섹의 장점으로 인해 고도근시에서도 각막혼탁이나 근시퇴행의 걱정 없이 안전하게 수술을 하게 된 것입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특수렌즈 착용
수술 이후 각막상피가 제거된 수술부위를 일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산소투과율을 월등히 높인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함으로써 보호해줍니다.
이 덕분에 산소가 필요한 각막에 높은 산소포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됐고, 이 덕분에 수술 부위 치료과정이 빨라졌고, 통증을 줄여 주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
번호 | 제목 | 작성일 | |
---|---|---|---|
38 | ![]() |
가루가 날리는 공장에서 일하시는 분들~! 눈 관리 이렇게 하세요!! | 2010-04-19 |
37 | ![]() |
겨울만 되면 나도 모르게 눈물이...-겨울만 되면 자꾸 눈물이 나는 이유는 뭘까? | 2010-04-19 |
36 | ![]() |
지나친 음주! 과연 눈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 2010-04-15 |
35 | ![]() |
마음의 상처보다 더 아픈 내 눈의 상처! 각막찰과상에 대해 알아보자!! | 2010-04-15 |
34 | ![]() |
조은눈 안과의 진료시스템 - 마이챠트 | 2010-04-14 |
33 | ![]() |
조은눈 안과 대표 장비 소개 - 웨이브프론트 | 2010-04-14 |
32 | ![]() |
눈의 피로 털어내기~ | 2010-04-13 |
31 | ![]() |
안경 쓴 안과의사는 괴로워 | 2010-04-13 |
30 | ![]() |
라식이나 라섹 후의 안구건조증 | 2010-04-12 |
29 | ![]() |
부모님께 카네이션과 함께 건강을 챙겨 드리는 것은 어떨까요? | 2010-04-12 |